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DongEsssss
Javascript 다지기 - 데이터 타입 (원시 타입) 본문
저번에 시간에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알아봤잖아요 마지막에 원시타입과 객체 타입이 있다 이런 게 있다 정도의 표로 마무리를 지었을 겁니다. 오늘은 데이터타입에서 원시 타입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나눠놓은 이유는 너무 길면 지루하잖아요! ㅎㅎ
시작해보겠습니다.
저번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자바스크립트는 **동적 타입 언어** 입니다.
즉 변수를 선언할 때 타입을 명시하지 않고, 실행 시점에서 값이 할당되면서 타입이 결정됩니다.
이로 인한 단점으로 유연성은 있지만, 그만큼 타입 관련 에러가 많이 발생하죠
원시 타입(Primitive Types)란?
원시 타입이란 하나의 단일 값만을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으로, **불변(immutable)**한 특징을 가집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원시 타입에는 크게 6가지가 있습니다.
1. Number (숫자 타입)
- 정수와 실수를 모두 포함합니다.
- 특별한 값으로 NaN, Infinity, -Infinity가 있습니다.
const a = 10;
const b = 3.14;
const c = NaN;
const d = Infinity;
2. String (문자열)
- 작은따옴표(''), 큰따옴표(""), 백틱(`)으로 표현합니다.
- 백틱은 템플릿 리터럴로 변수와 쉽게 결합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를 넣을 때는 백틱 안에 ${name}을 적어 사용합니다.
- 백틱으로 작성을 하면 백틱 안에 작성한 대로 줄 바꿈이 이루어집니다.
const str = "Hello";
const name = "동이";
const greeting = `안녕하세요, ${name}님!`;
const intro = `안녕하세요
저는
동이입니다.`
3. Boolean (논리값)
- 참(true) 또는 거짓(false)만 가질 수 있습니다.
const isLogin = true;
const isAdmin = false;
4. Undefined (정의되지 않음)
- 변수를 선언만 하고 값을 할당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undefined가 됩니다.
let x;
console.log(x); // undefined
5. Null (값이 없음)
- 변수에 값이 없음을 의도적으로 표시할 때 사용합니다.
let x = null;
console.log(typeof y); // "object" (자바스크립트 버그)
6. Symbol (고유한 값)
- ES6에서 추가된 타입으로, 고유하고 변경 불가능하며, 주로 객체 속성의 키로 사용됩니다.
- Symbol로 만든 값은 다른 Symbol과 절대 겹치지 않으므로, 충돌을 피할 수 있습니다.
let id = Symbol("id");
let user = {
[id]: 12345
};
console.log(user[id]); // 12345
오늘은 원시 타입 크게 6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은 객체 타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의 원시 타입(Primitive Types)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바로 이 원시 타입을 제외한, **객체 타입(Object Type)**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웹 개발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다지기 - 데이터 타입 (객체 타입) (0) | 2025.09.03 |
---|---|
Javascript 다지기 - 데이터타입 (0) | 2025.09.03 |
Javascript 다지기 - 식별자 (0) | 2025.08.21 |
Javascript 다지기 - 변수 (3) | 2025.08.07 |
Javascript 란 무엇일까? (7) | 202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