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gEsssss
Javascript 다지기 - 식별자 본문
오늘은 식별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식별자란 무엇이냐!
**식별자(identifier)**란 변수, 함수, 클래스, 속성 등을 구분하기 위해 붙이는 이름
쉽게 말하면 "코드에서 변수에 이름을 부여하는 것" 라고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let age = 20; // age → 변수의 식별자
function Hello() {} // Hello → 함수의 식별자
class User {} // User → 클래스의 식별자
이런 식으로 변수에 이름을 부여하면 나중에 찾는 것도 편해지고 이 함수, 변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기 쉽겠죠?
식별자를 작성할때는 주의할 점이 있어요 (지키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1. 문자, 밑줄(_), 달러($) 로 시작해야 함 *숫자로 시작할 수 없어요
const name = "DongEsssss"; // 올바른 식별자
const _count = 28; // 올바른 식별자
const $value = 100000; // 올바른 식별자
const 1st = 1; // 올바르지 못한 식별자
2. 영문 대소문자 구분
const age = 18;
const Age = 28;
console.log(age); // 18
console.log(Age); // 28
3. 예약어(Reserved words)는 사용 불가
let for = 28; // SyntaxError 발생
let class = "DongEsssss"; // SyntaxError 발생
위에 3가지를 필수로 지켜야하는 거에요 무조건 지켜야하는 규칙입니다.
하지만 식별자를 대충 지어서도 안됩니다. 조금 까다롭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개발하는데 있어서 식별자만 잘지어도 일하는 시간이 엄청 단축될꺼에요
의미 없는 이름 피하기
만약 우리가 사이트를 개발한다고 했을 때 작성자 명, 사진 명, 작성 글 3가지 데이터가 있을 때 경우
const text0 = "DongEsssss"
const text1 = "Food Photo"
const text2 = "Lorem Ipsum..."
이런 식으로 적었다 라는 가정하에 지금은 구분하기 쉽겠지만, 이게 10개 20개 막말로 100개 있다고 쳤을 때 구분하기 어렵겠죠?
하지만 아래처럼 짓는다면 구분하기 쉽겠죠? (저도 잘 짓는 편은 아닙니다...ㅜㅡㅜ )
const userName = "DongEsssss"
const contentPhoto = "Food Photo"
const contentText = "Lorem Ipsum..."
일관된 네이밍 컨벤션 사용하기
- 변수, 함수 → camelCase (소문자로 시작)
- 클래스, 생성자 → PascalCase (대문자로 시작)
- 상수 → UPPER_SNAKE_CASE (대문자+_(언더바))
전역 스코프 오염 주의
- 의미 없는 전역 변수나 너무 일반적인 이름(data, value 등)을 쓰면 다른 코드와 충돌할 수 있음
특수문자/한글 사용 지양
-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유지보수에 불리
요약하자면
식별자란 "코드의 이름표"
숫자로 시작 불가능, 대소문자 구분, 예약어 사용
의미 있는 이름과 일관된 네이밍 컨벤션을 사용하면 가독성 및 유지보수에 용의함
전역 스코프와 충돌을 피하려면 신중하게 식별자 이름 짓기
결론: 식별자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코드 품질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신중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웹 개발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다지기 - 데이터 타입 (객체 타입) (0) | 2025.09.03 |
---|---|
Javascript 다지기 - 데이터 타입 (원시 타입) (0) | 2025.09.03 |
Javascript 다지기 - 데이터타입 (0) | 2025.09.03 |
Javascript 다지기 - 변수 (3) | 2025.08.07 |
Javascript 란 무엇일까? (7) | 202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