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58)
DongEsssss

객체 타입(Object Type)이란?객체 타입이란, 여러 값을 하나로 묶어 관리할 수 있는 복합 데이터 타입을 말합니다.자바스크립트에서는 원시 타입을 제외한 모든 값이 객체로 취급될 수 있습니다.즉, 객체 타입 변수에는 값 자체가 아닌 **메모리 주소(참조)**가 저장됩니다. 1. 객체(Object)키(key)-값(value)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let user = { name: "동이", age: 25};2. 배열(Array)순서가 있는 데이터 집합let numbers = [1, 2, 3, 4, 5];3. 함수(Function)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도 객체function hello() { console.log("Hello!");}이번에는 데이터 타입이라는걸 배웠네요 이번에는 좀 길어서 3번에 ..

저번에 시간에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알아봤잖아요 마지막에 원시타입과 객체 타입이 있다 이런 게 있다 정도의 표로 마무리를 지었을 겁니다. 오늘은 데이터타입에서 원시 타입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나눠놓은 이유는 너무 길면 지루하잖아요! ㅎㅎ 시작해보겠습니다. 저번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자바스크립트는 **동적 타입 언어** 입니다. 즉 변수를 선언할 때 타입을 명시하지 않고, 실행 시점에서 값이 할당되면서 타입이 결정됩니다.이로 인한 단점으로 유연성은 있지만, 그만큼 타입 관련 에러가 많이 발생하죠원시 타입(Primitive Types)란?원시 타입이란 하나의 단일 값만을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으로, **불변(immutable)**한 특징을 가집니다.자바스크립트에서 원시 타입에는 크게 6가지가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는 동적 타입 언어입니다.즉, 변수를 선언할 때 타입을 명시하지 않고, 실행 시점에 값이 할당되면서 타입이 결정돼요.나중에 배우게 될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와는 반대 개념이죠.이 때문에 유연성이 높아 개발자가 자유롭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지만, 타입 관련 오류가 런타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타입이란 무엇이고 어떤 게 있는 지 알아보도록 해볼께요 원시 타입 (Primitive Types)참조 타입 (Reference Types)타입 예시number, string, boolean, undefined, null, bigint, symbolobject, array, function, date, map, set 등저장 방식값 자체를 변수에 저장 (스택 메모리)메모리 주소..

오늘은 식별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식별자란 무엇이냐!**식별자(identifier)**란 변수, 함수, 클래스, 속성 등을 구분하기 위해 붙이는 이름 쉽게 말하면 "코드에서 변수에 이름을 부여하는 것" 라고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let age = 20; // age → 변수의 식별자function Hello() {} // Hello → 함수의 식별자class User {} // User → 클래스의 식별자이런 식으로 변수에 이름을 부여하면 나중에 찾는 것도 편해지고 이 함수, 변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기 쉽겠죠? 식별자를 작성할때는 주의할 점이 있어요 (지키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1. 문자, 밑줄(_), 달러($) 로 시작해야 함 *숫자로 시작할 수 없어요cons..

let, const는 권장하는 데에 비해서 var는 지양한다고 되어있는데 왜 인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이 챕터를 보기 전에 아래 글을 먼저 읽으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Javascript 다지기- 변수편변수를 먼저 보시는 게 좋습니다. ">저번 글 Javascript 다지기 - Javascript 다지기- 변수편 변수를 먼저 보시는 게 좋습니다. 자바스크립트 초기에는 변수를 선언할 수 있는 방법이 var 하나뿐이었지만,ES6(2015)에서 let과 const가 추가되면서 var의 단점을 보완하게 되었습니다.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함수 범위 vs 블록 범위호이스팅 초기화 방식중복 선언 가능 여부 저번에 우린 자바스크립트 변수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참고용으로 마지막에 표만 슬..

변수란 무엇일까?우리는 수학에서 변수라는 말을 많이 들어봤을 텐데,수학에서 변수는 정해지지 않은 임의의 값을 표현하기위한 기호를 말합니다.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의 변수는 특정 값을 저장 하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합니다. 더 쉽게 말하면 어떤 값을 나중에 재사용하기 위해 이름표를 붙여두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 같습니다!그렇다면 변수는 왜 필요할까?console.log(10+10); // 라는 간단한 출력문이 출력문으로 예시를 들면 결과는 20이 나오겠죠?하지만 이 값(20)을 다시 사용하고 싶은데 이 값이 여러 번 혹은 여러 곳에서 사용하고 싶을 때 계속 10+10을 입력하는 것을 비효율적이겠죠? 막말로 10+10이라는 식을 100곳에 사용했다고 하면 나중에 수정할 때 100번 수정해야겠죠....? 엄청..

제가 자바스크립트의 스킬의 지식이 부족한 거 같아서 다시 처음부터 코드를 하나하나 처 보면서 다시 공부하는 시간을 가질라고 합니다.쉬운 거라고 무시하지 않고 차근차근 시작해 보겠습니다!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언제나 피드백 부탁드립니다!자바스크립트는 웹 페이지에 생동감을 불어넣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핵심 언어 중 하나가 **JavaScript (JS)**입니다.그렇다면 자바스크립트는 정확히 무엇일까요?라고 저는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생동감을 주는 언어라고 생각하냐?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는 보통 HTML을 사용해 웹 페이지의 기본 구조(뼈대)를 만들고,CSS / SCSS / TailwindCSS 같은 스타일링 도구를 사용해 페이지를 더 예쁘고 매력..
이직 후 시간이 정말 빠르게 지나갔습니다.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이 생각보다 쉽지 않았고, 특히 기존에 잘 다루지 않았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게 되면서 여러모로 어려움을 많이 겪었습니다. 처음에는 낯설고 부족함을 많이 느껴 혼란스러운 시간들이 이어졌고, 업무적으로도 회사 내부 사정과 프로젝트 진행 중에 여러 가지 악재들이 겹치면서 정신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야 했습니다.이직이라는 큰 변화와 새로운 도전에 집중하느라 글을 쓰는 것에는 소홀해졌고, 그러다 보니 점점 글쓰기 자체가 멀어졌던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기록하고 정리하는 습관이 흐트러지면서 제가 배운 점이나 느낀 점들을 잊어버리기도 했고, 스스로에게도 아쉬움이 많이 남았습니다.하지만 이제는 다시 마음을 다잡고, 부족했던 부분들을 채워 나가면서 꾸준히..

오늘은 제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주로 사용하는 html 스타일링 도구! SCSS에 대해서 알아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SCSS란 SCSS는 Sassy Css의 약자로, css의 확장 문법입니다. Sass(Syntactically Awesome Stylesheets)의 최신 문법 중 하나로, css의 단순한 문법을 확장하여 기존에 css보다 효율적인 스타일링 도구를 제공합니다. scss는 기존 css와 100% 호환이 되므로 그대로 사용 가능합니다. 다음 SCSS의 주요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변수 - $를 통해 변수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primary: #ffffff;body { color: $primary;} 2. 중첩- html 구조를 반영하여 스타일을 중첩 형태..
최근 취업 준비와 면접 준비에 집중하다 보니 블로그에 글을 올리지 못했습니다. 면접을 준비하며 정리했던 내용들을 공부하는 데 활용하고, 제 GitHub.io 페이지를 개선하는 데 시간을 쏟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글 작성이 조금 소홀해졌네요. 😊 다행히 이직에 성공하면서 심적으로 여유가 생겼습니다. 이제부터는 JS 관련 글을 시작으로 차근차근 글을 올려보려고 합니다.티스토리를 운영하면서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고 정리하는 습관이 큰 도움이 되었어요. 덕분에 공부한 내용이 더 오래 기억에 남고, 다른 분들의 피드백을 통해 다양한 조언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들 덕에 많이 배우고 성장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개발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분들도 티스토리나 블로그를 꼭 고민해 보..